본문 바로가기
독서와 글쓰기/책 이야기

조성익의 혼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주거 실험을 읽고

by 격암(강국진) 2023. 1. 26.

23.1.25

요즘 한국에는 여러가지 재미있는 집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BS에서 만드는 건축탐구 집같은 프로그램만 봐도 전에 비해 전국에 여러가지 집들이 더 많이 생겨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들게 만듭니다. 다양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런 가운데 우리의 주거문화도 발전하게 될테니까요. 하지만 이런 희망어린 시선과 함께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진정으로 주거문화의 발전이라고 할만한 변화는 아직 제대로 시작도 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면 위에서 말한 건축탐구 집에서 소개하는 집들은 거의 예외없이 도시의 협소주택이거나 외진 곳에 있는 전원주택이거나 아니면 건축비를 듣기가 무서울 정도의 무시무시하게 비싼 집들이기 때문입니다. 문화란 어떻게 딱 정의할 수 없는 것이지만 주어진 환경적 제한조건을 창의적으로 극복한 방법들의 누적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즉 제약이 문화의 핵심입니다. 먹을 것이 없는 환경에서 풍족하고 만족하게 먹을 방법을 찾는 것이 식문화이고 마찬가지로 환경적 제약속에서 쾌적하게 살아갈 방법을 찾는 것이 주거문화일 것입니다. 돈이 많은 사람들이 문화적인 실험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소개하고 개척한다는 것도 사실이므로 비싼 집이라는 것이 반드시 잘못된 것은 아닐 것입니다만 대중적인 주거를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는 것이 결국 본격적인 주거문화의 발전일 것입니다. 그런데 호화판 단독주택은 어찌봐도 대중에게 대개 대안이 되기는 어려워 보이며 그것이 지금 한국을 뒤덮고 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경쟁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사실 지금의 트렌드를 보면 1인주거가 늘어나고 있고, 사람들의 주거 이동은 점점 더 늘어나기만 하는 것같습니다. 이런 걸 생각하면 자기 집을 짓고 죽을 때까지 거기 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자체가 결코 대중적인 자세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누군가가 조선의 양반집 같은 한옥집을 짓고 살아도 잘못된 것은 없고 꿈을 이뤘다면 축하해야 할 일이지만 그것이 모두가 따라할 수 있고 따라해도 바람직한 집이라고는 절대 말할 수 없듯이 말입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은 조성익이 쓴 혼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주거실험을 읽었습니다. 읽기 쉽지만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감명깊기도 하면서도 의아심도 많이 불러 일으키는 책 그러니까 좋은 책입니다. 이 책은 2021년에 한국 건축 문화 대상 대통령상을 받은 건물인 맹그로브라는 혼자 사는 사람들을 위한 공유 주택에 대한 이야기들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 저자가 이 건물을 설계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 집의 핵심적 부분이랄 수 있는 작은 방의 아이디어는 유명 건축가인 르코르뷔지에가 설계한 라 투레르 수도원에서 얻었다고 소개됩니다. 저자는 유럽에 있는 그 수도원에 가서 숙박을 해보면서 1인용 방에 대한 설계아이디어를 얻었다는 겁니다. 

그 아이디어의 핵심은 작지만 넓게 보이는 방은 길다는 것이었습니다. 원형이나 정사각형 모양의 공간은 공간 자체가 어떤 정리를 해주지 않기 때문에 무질서해지지만 좁고 긴 공간은 그 안에서 질서가 생겨나고 넓게 느껴진다고 합니 다. 이는 두가지 측면에서 재미있는 지적인데 첫째로 한국의 아파트의 방들은 좁고 긴 공간보다는 정사각형에 거의 가까운 장방형의 방이 많다는 것이고 둘째로 제가 재미있는 집이라고 생각하는 안도 다다오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스미요시의 집도 나가야 즉 긴 집이라는 겁니다. 이것은 우리의 주거가 별로 깊은 생각이 없이 만들어 지고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이러한 생각이 좀 더 그럴듯하게 생각되는 것은 우리의 전통 한옥집을 보면 ㄷ자 집이 많은데 이 집도 결국 하나로 펴면 긴 집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좁고 긴 집을 구부려놓은 것이 ㄷ자 주택인 것입니다. 더구나 이 ㄷ자 모양에 대해서도 저자는 다른 부분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공간이 구부러질 때 집중과 만남이 생겨난다고 말입니다. 비록 그는 한옥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저는 이 두 부분이 겹쳐지는 집이 ㄷ자 집이라는 것에 대해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밖에도 저자는 사람들이 각자의 사생활을 지키면서도 다른 사람들과 만나서 관계를 가지는 집을 만들기 위해 많은 아이디어를 집에 쏟아넣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그런 아이디어들이 현실화되는지를 확인까지 합니다. 사실 이 책은 상당부분이 26세인 현수라는 직원이 그 집에 들어가서 설계자가 상상했던 건축효과가 실제로 일어나는가를 확인한 결과 만들어 진 것이라는 점에서 더 흥미롭고 유의미한 것이었습니다. 부엌은 어때야 하는지, 화장실과 샤워장을 공유하는 것은 어떤 효과가 있는지 등에 대해서 현수라는 직원은 2달동안의 기간동안 맹그로브에서 직접 살면서 관찰했습니다. 

저에게 특별히 재미있었던 점은 이 건물은 들어가는 입구에 로커룸이 있어서 그 안에서는 신발을 벗고 돌아다니게 되어있다는 겁니다. 현수는 별거 아닌 것같았던 이 선택이 큰 차이를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신발을 벗는 순간 즉 건물에 들어선 순간 사람들은 아직 자기 방에 들어가지 않았는데도 집에 온 것같은 느낌을 받았고 좀 더 자주 자기 방을 떠나 공용공간에 들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것은 조명과 천장높이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천장이 높은 공간 그리고 주변에 물건이 너저분하게 있지 않은 공간에 사는 것이 창의력을 높인다고 합니다. 그럼 그걸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말 그대로 그런 공간을 만들려면 돈이 많이 듭니다. 그러나 두가지를 쓰면 싸고 쉽게 문제가 해결됩니다. 바로 바닥에 주저앉고 머리에 가까운 곳에 조명을 다는 겁니다. 머리의 높이를 낮추면 천장이 높아지니까요. 또한 조명을 머리 가까운 곳에 두면 빛이 주변으로 부터 우리를 차단하니까요. 저자가 그렇게 말하지는 않았지만 앉은 뱅이 밥상위에 스탠드를 켜고 공부를 하고 일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럴듯하고 재미있는 이야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에 대해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은 않았습니다. 저자는 좋게 말하면 모든 것을 심리학적인 탐구를 통해서 결정하려고 하고 조금 과장하면 서구적 시각에서 답을 찾으려고 합니다. 왜냐면 어디에서도 한국의 집이라는 정체성을 들어내는 곳을 찾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건물의 입구에서 신발을 벗는다고 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말입니다. 

이것은 국수주의적으로 단순히 모든 것이 전통문화적이어야 한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저자가 책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하나의 생각은 현실로 옮기면 반드시 의도한 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전통문화란 수없는 시행착오속에서 찾아낸 답을 누적시킨 것입니다. 커뮤니티 기능이라고 하지만 과연 따뜻한 온돌바닥이 있는 사랑방에 모여서 시간을 보내던 우리의 전통문화가 커뮤니티 기능과 상관이 없을까요? 이 책에서는 온돌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옳은 것일까요? 누군가가 가장 이상적인 언어는 인간의 심리학을 생각하면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이 한국인으로 하여금 한국어를 그만 쓰고 그 언어를 쓰게 만들지는 않으며 온 세상의 사람들이 같은 언어를 쓰게 하지도 않습니다. 주거문화 나아가 생활문화도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커뮤니티 기능을 생각하거나 여러 사람이 하나의 건물안에 동거하는 것을 생각할 때도 과연 우리가 물려받은 주거문화에서는 어떤 해답이 있는 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반드시 한국의 것이 옳아서가 아니라 그것이 오랜간 검증받아 누적된 지혜이기 때문입니다. 책상앞에서 혼자서 끄적인 생각이 반드시 그것보다 옳을 지는 알 수 없는 일입니다. 특히 한국 사람에게 말입니다. 

건물은 하나의 게임입니다. 그 건물의 물리적 구조는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이 지켜야할 물리적 규칙을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그 건물안에서 사는 것은 하나의 게임인 겁니다. 그런데 게임은 게임의 규칙과 참가자로 이뤄집니다. 그러니까 누가 그 게임을 하는가에 따라 게임은 전혀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게임을 하면 그 게임의 참가자가 그 게임의 규칙의 영향을 받아 바뀐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게임의 참가자가 다르면 같은 규칙을 가진 게임도 다르게 진행되게 됩니다. 

이 말은 같은 건물도 그 안에 사는 사람이 한국인이냐 일본인이냐 독일인이냐에 따라 다르게 쓰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다른 효과가 나올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맹그로브 프로젝트를 제안한 건물주는 이 집이 자아가 성장하고 타인과 관계 맺는 방법을 배우는 집이 되기를 바랬다고 합니다. 이 말은 저자인 조정익이 후기에서 적듯 건물은 그 안에 사는 사람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을 기초로 합니다. 병을 고치려고 약을 먹는 사람은 약이 병을 고친다고 믿으니까 약을 찾겠죠. 그런데 이런 관점은 어느 정도 일방적인 시각을 가진 면이 있습니다. 즉 앞에서 말했듯이 건물이 인간을 바꾸는 부분만 생각하고 인간이 그 건물의 쓸모와 의미를 만들어 내는 부분을 깊게 고민하지 않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책에 나오는 내용들은 지극히 범국가적이어서 프랑스 건축가가 썼다고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내용만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밥을 먹을 때는 먹는다고 합니다. 산다고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집에는 산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영어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집이 우리의 삶과 얼마나 가까운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의 주거문화는 아직 제대로 성장하고 있지 못합니다. 제가 좀 비판적으로 쓴 것도 있지만 이런 책의 저자처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행복한 삶이 더 많은 사람에게 가능할거라 믿습니다. 건축은 게임입니다. 더 재미있고 유익한 게임이 미래에 나왔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