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글모음/과학자의 시선

지식과 체험2

by 격암(강국진) 2015. 3. 9.

15.3.9

나는 법칙과 지식은 다른 모든 것이 그렇듯이 어떤 근본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핵심적으로 인간의 의지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라고 지식과 체험이라는 글에서 썼다. 그리고 나서 보니 지식이나 법칙 혹은 형식을 만들어 내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중요성에 대해 몇마디 더 정리해 보는 것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식이나 법칙은 일종의 형식이다. 예를 들어 땅의 어딘가에 선을 긋고 여기는 서울 저기는 경기도 하고 구분을 하는 것이다. 그러한 구분을 만들어 내게 하는 원천은 형식 이전의 체험이며 나는 우리가 지식의 극한에 이를수록 이 지식이라는 형식이 놓치는 것이 점점 더 치명적인 오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했던 것이다. 

 

지식이나 형식이란 일종의 요약과 같은 것이다. 수없이 많은 사과를 먹고 수없이 많은 배를 먹은 후에 사과의 맛은 이렇고 배의 맛은 이렇게 틀리다라고 말하는 형식을 우리는 만들어 낸다. 사과나 배라는 단어의 형식을 통해 맛을 느끼는 다양한 체험을 요약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식이 쌓여가면 우리는 체험을 얻을 기회가 점점 사라지고 지식이 체험 자체를 대체해 버리게 된다. 

 

우리는 하나의 농가에 대한 이야기만 해도 평생을 다해도 다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그런 농가가 많이 모인 프랑스 농촌마을에 방문한 사람의 여행기를 한페이지 정도 읽은 것으로 우리는 종종 프랑스 농촌마을에 대해 다 알았다고 느끼게 된다. 아 이런 동네로군 해버리는 것이다. 나아가 프랑스에 안 가보고도 프랑스에 관한 책을 몇 권 읽고 프랑스에 뭐가 더 있는가 하는 식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리하여 정작 체험의 양은 극단적으로 작은 사람이 이 세상에는 신기한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으며 알아야할 가치가 있는 것중에 내가 모르는 것이 뭐가 있는가 하는 식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가 뭔가를 배운다는 것이 뭔가를 생각해 볼 때 통상의 경우 그것은 지식의 습득 즉 형식의 암기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는 안되는데 현실적으로는 거의 대부분이 그렇게 되고 마는 것이다. 특히 현대의 욕심많은 부모들은 자식들의 머릿속에 더 많은 것을 넣고자 하는 욕심에 눈이 멀어 요약을 체험과 동일시 하는 잘못을 자주 저지른다. 고전의 요약본을 읽으면 고전을 읽은것과 같은 것이 된다는 식이다. 

 

그렇다고 해서 현실적으로 지식의 습득을 포기하고 원천적이고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스스로 모든 것을 만들어 가겠다는 결론에 이른다면 이도 참으로 무모한 것이다. 그것은 마치 인류문명은 잘못된 길을 걸었으므로 나는 원시인으로 돌아가 문명을 처음부터 쌓아올리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일개 개인이 가진 능력과 에너지와 시간으로 뭘 얼마나 할 수 있겠는가. 도시 생활이 싫다고 밥도 혼자서 못해먹는 사람이 오지의 농촌으로 가서 혼자서 살아보겠다고 하면 그는 얼마나 성공할 것인가. 

 

이같은 문제에 대한 쉬운 답은 쉬운 타협을 하는 것이다. 즉 지식과 체험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것이 답의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제대로된 답은 형식을 만들어 내는 존재로서의 인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지식을 배우면서, 형식을 배우면서 이것이 체험을 요약하고자 하는, 뭔가를 설명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 인간이 만들어 낸 도구라는 점을 계속 잊지 않아야 한다. 지식으로 가득찬 책을 읽으면서도 그 책을 쓰는 저자를 잊지 않아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지식에 휘둘리지 않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독일문학에는 계몽문학이 있고 편지소설이 있고 하는 식의 말을 들었다고 하자. 독일 성장 소설은 인간을 이러저러하게 본다 같은 말을 배운 것이다. 이런 말들은 종종 우리를 주눅들게 하고 혼돈에 빠지게 한다. 실은 이런 지식이나 형식은 독일 문학과 역사에 대한 많은 경험을 가진 상황에서 읽어야 도움이 되는데 그런 경험을 쌓는 일은 없이 간결하게 축약된 지식을 들으면 한 문장안에 있는 단어 단어가 모두 애매한 뜻을 가진다. 대개는 그래서 독일문학의 영웅들을 전지전능한 존재쯤으로 생각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기 쉽다. 그들은 수백년 전에 이미 현대인보다 훨씬 더 뛰어난 통찰력으로 많은 것을 이뤄놓은 것같기 때문이다. 최초의 계몽주의사상가는 누구다 같은 말을 들으면 그 계몽주의 사상가가 거의 모든 것을 다 이뤄놓았고 그 후예들이나 다른 사람들은 별로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사실 역사나 이론은 바로 그런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형식이나 지식은 체험보다 앞에 올 수 없다. 인간들 사이에는 보편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모든 인간이 같지 않고 예전과 지금이 다른데 수백년전의 인간의 체험이 지금 우리의 체험과 어떻게 같을 수가 있을 것인가. 만약 오늘날 누군가가 신은 죽었다라고 니체와 똑같은 말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어떻게 니체와 같은 느낌과 체험의 결과 일 수가 있을 것인가. 

 

형식을 떠나 지식을 떠나 체험으로 다시 눈을 돌리면 우리는 다시 자기 자신을 붙잡을 수가 있게 된다. 우리는 세상에 신세를 지고 세상의 일부로 살아가지만 또한 세상 누구와도 다른 고유성을 지닌 존재다. 남의 발가락이 간지러웠다는 말에 내 발도 반드시 간지러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전주라는 곳이 어떤 곳인가에 대해 여행책자를 참조하거나 남이 쓴 글을 참조하지 않는 것은 어리 석은 것이다. 그러나 그런 것들을 접하면서 거기에 휩쓸려서는 안된다. 그것은 가능한 체험의 일부를 요약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식중의 일부일 뿐이다. 저자는 지식을 생산하는 인간이다. 우리는 생산자를 느끼기를 중단해서는 안된다. 그럴 때 우리는 책에서 진짜 알맹이를 얻게 되지 않을까?

 

그러나 세상은 형식과다, 지식과다로 흘러가는 일이 많다. 특히 한국사회가 좀 더 그렇다. 단어 하나에 쉽사리 흔들린다. 자기를 잊고 지식의 원천에 대한 생각을 잊는다. 그래서는 안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