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와 글쓰기/오늘의 질문

열린 사회와 그 적들 다시 읽기 (1권 3장)

by 격암(강국진) 2020. 6. 4.

오늘은 열린 사회와 그 적들 1권의 3장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3장의 제목은 플라톤의 형상이론입니다.

 

 

먼저 몇개의 시간대를 정리하고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던 헤라클레이토스는 기원전 535년에서 475년까지 살았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오늘의 주인공 플라톤은 기원전 428년에서 348년까지 살았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플라톤은 대충 100년뒤의 사람인 겁니다. 

 

헤라클레이토스는 정치적 변화를 겪으면서 모든 것이 변화한다는 철학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정치적 혼란기에 산 것은 플라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테네의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플라톤은 그가 성장할 때 펠로폰네소스 전쟁이라는 걸 겪습니다. 이 전쟁은 유명한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두 진영간에 벌어진 27년간의 전쟁입니다. 

 

포퍼는 이 전쟁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왜냐하면 과거의 부족주의를 대표하는 곳이 바로 스파르타였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우리가 스파르타식이라고 하면 엄격한 관리를 의미할 정도로 스파르타는 권위적 통제로 유명한 곳이었습니다. 반면에 새로운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곳이 바로 아테네였습니다. 

 

공식적으로는 펠로폰네소스에서 진 것은 스파르타입니다. 하지만 포퍼는 진정한 승리는 민주주의였다고 말합니다. 왜냐면 전쟁이 끝나고 나서 얼마지나지 않아 아테네는 다시 민주주의 진영이 지배하는 곳으로 돌아갔기 때문입니다. 

 

플라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일어나고 나서 3년뒤에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났을 때 24살의 청년이었죠. 지난 시간에 역사주의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반동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런 혼란기에 태어난 플라톤이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철학을 받아드린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플라톤은 진정한 황금기는 먼 과거에 있었으며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차츰 차츰 쇠퇴하고 있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철학을 받아들였습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헤라클레이토스와는 하나가 달랐습니다. 헤라클레이토스는 그러한 변화의 과정은 절대로 바꿀 수 없다는 비관적인 역사관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플라톤은 인간의 의지가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니까 완전한 국가를 만들면 그 국가는 더이상 변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국가가 쇠퇴하는 것은 그 국가가 불완전하기 때문이라는 거죠. 

 

이쯤에서 우리는 변하지 않는 상태 즉 역사의 끝이라는 말이 반드시 플라톤의 말만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공산주의에서는 공산혁명으로 역사는 그 끝에 도달한다고 하죠. 그 상태가 완벽한 상태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혁명은 없습니다. 또 지난 세기에는 시장경제가 완전히 승리했다면서 역사의 끝이 온 것같다는 책을 써서 유명해진 프랜시스 후쿠야마같은 사람도 있었습니다. 말하자면 시장경제가 완벽한 상태이기 때문에 역사는 더 변할 것이 없다는 겁니다. 

 

불완전한 국가는 쇠퇴하지만 완전한 국가는 쇠퇴하지 않는다. 이 정도의 생각에 멈췄으면 플라톤이 위대한 철학자로 여겨지지는 않았겠죠. 플라톤은 국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더 확대합니다. 그것이 바로 형상이론이고 이데아론입니다. 

 

이데아론에서 플라톤은 말합니다. 이 세상에는 형상 혹은 이데아라는 완전한 형태나 관념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관념은 만물의 원본인 아버지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이 아버지가 어머니의 역할을 하는 추상적 공간을 만나면 완전한 아버지의 불완전한 복제품인 사물이 만들어 진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여기 완벽한 말이나 침대라는 이데아 말, 이데아 침대가 있고 그것이 세상에 무수히 존재하는 현실의 말들이나 침대들을 만든다는 겁니다. 세상의 침대는 낡으면 망가지지만 이데아 침대는 절대로 변하지 않습니다. 

 

이데아론이 그럴듯한가요? 솔직히 말하면 현대인이 들으면 대개 그냥 황당한 이야기죠. 하지만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우리가 과거의 이야기를 들을 때 더 신경써야 하는 것은 그들의 답이 아니라 질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이데아론의 정수가 무엇인가, 본질이 무엇인가를 고민하는게 아니라 이데아론의 역할이나 목적이 뭔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그럴 때 우리는 우리의 답도 플라톤의 답보다 그리 뛰어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 생각이 황당하다고 하면서 자기 생각이 황당한 것은 모르는 것이죠. 

 

포퍼는 이데아론의 역할이 세가지 있다고 합니다. 사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 1권 내용의 대부분이 이 세가지 역할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 중의 첫번째 역할이 뭔가를 알기 위해 다음의 말들을 읽어 봅시다. 

 

먼저 플라톤보다 먼저 살았던 파르메니데스의 말입니다. 

 

“순수한 지식은 변화하지 않는 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그 다음은 플라톤의 제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입니다.

 

“만약 지식이나 사고가 하나의 대상을 가져야 한다면 감각적 사물들과는 완전히 다른 불변하는 실체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만약 세상의 모든 것들이 변하는 거라면 우리는 한가지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우리가 어떻게 뭔가를 확실하게 알 수가 있냐는 거죠. 그런데 여기에 이데아론이 하나의 답을 줍니다. 이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이데아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사라지고 무너지는 허망한 나라가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완전한 이데아의 나라가 존재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놓고 보면 우리는 언어와 세계의 역할이 뒤바뀐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세계는 혼란스럽고 변화하고 경계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뭐가 의자고 뭐가 침대인가 하는 것에는 경계가 없죠. 그런데 우리가 거기에 이름을 만드는 겁니다. 이게 의자고 저게 침대라고 말입니다. 언어는 세계를 묘사하고 기술하는 도구입니다. 세계가 실재로 존재하는 것이고 언어는 우리가 임시로 만들어 낸 수단이죠. 

 

그런데 이데아론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세계보다 언어가 더 실질적인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세계는 자꾸 변하니까요. 반면에 언어는 변하지 않습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침대는 낡아서 망가져도 침대라는 관념이나 이름은 변하지 않으니까요. 변하지 않고 확실한 것이 실체라고 생각한다면 점점 더 이름이 실체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죠. 현실은 허망하지만 이데아는 진리라고 생각하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사회가 존재하는데 우리가 거기에다가 흔히 하듯이 부유층, 중산층, 빈곤층이라는 구분을 했다고 합시다. 이 말들은 그저 임시적인 수단입니다. 세상은 자꾸 바뀝니다. 그런데 누군가가 계속 이 이름들에만 미련을 둡니다. 진정한 부유층이란 무엇인가하고 부유층 빈곤층의 구분에 신경씁니다. 이러면 이상하겠죠. 

 

포퍼는 이렇게 말의 의미에 집착하는 것을 본질주의, 더 길게는 방법론적 본질주의라고 부릅니다. 본질주의에서 우리는 자꾸 뭐뭐란 무엇인가라고 본질이나 정의를 묻습니다. 국가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뭐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본질주의는 이 세상에는 본질이라는 것이 있고, 지적 직관으로 우리는 그것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그 본질에는 고유한 이름이 있다고 말하죠. 자꾸 단어의 정확한 뜻에 집착하는 겁니다. 당신이 사회주의가 뭔지 알아 뭐 이런 식으로 도발하는 겁니다. 

 

본질주의란 고대 그리스의 몇몇 철학자가 믿는 사고방식이 아닙니다. 사실은 과학에 도달하지 못한 모든 학문들에서 현재에도 퍼져 있는 사고방식입니다. 그러니까 이런 문맥에서 말하면 언뜻 보면 황당한 이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몇천년전에 있었던 철학자의 미신같은 것이 아니라 지금 이순간에도 이 세상에도 세상에 가득 퍼져 있는 사고방식인 겁니다. 굉장히 높은 확률로 여러분은 지금 이순간에도 이데아론을 믿고 있습니다.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이야 말로 이 책의 핵심입니다. 제가 전에 이 책이 깨달음을 준다고 한 적이 있는데요. 그 핵심은 바로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스스로가 본질주의에 빠져 있다는 것을 깨닿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왜 역사주의라고 비판되는 많은 이데올로기들이 마치 사이비종교처럼 사람들을 끌어들이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기서 묻게 됩니다. 본질주의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하고 말이죠. 그것이 바로 방법론적 유명론 줄여서 유명론입니다. 본질주의는 사물의 본질을 자꾸 묻습니다. 학생이란 무엇인가, 교수란 무엇인가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변화하지 않고 그 의미가 확실한 답을 찾는 겁니다. 

 

하지만 유명론은 지식의 과업을 그저 사물을 기술하는데서 찾습니다. 결코 관찰하는 대상의 본질을 묻지 않습니다. 이 책의 내용을 역사주의는 과학이 아니다라고 말한다면 이제 그것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사회과학은 아직도 과학이 도달한 것처럼 유명론에 도달하지 못하고 본질주의에 머물러 있다. 

 

과학도 처음부터 유명론의 상태였던 것은 아닙니다. 뉴튼의 중력이론이 나왔을 때 이것에 대한 가장 큰 비판은 뉴튼의 중력법칙은 중력이 뭔지를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중력이 뭔지, 왜 힘을 발휘하는지를 묻지않고 그냥 기술만 한다는 것이죠. 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질량에 비례한다. 뭐 이렇게 말입니다. 왜 그런데가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뉴튼이래의 과학은 과학혁명이라고 부를 만큼 발전했습니다. 그래서 뒤돌아보면 과학은 본질주의를 포기했기 때문에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산주의같은 역사주의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죠. 단어를 다듬고 말을 짜맞춰서 탈출하기 불가능한, 변화하지 않는 유토피아에 대한 환상을 만들었을 뿐이라는 겁니다. 

 

이런 사고의 원류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에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렇다면 서구인이 아닌 한국인들은 이런 사고의 오류가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일단 우리도 서구 사상을 많이 받아들였을 뿐만 아니라 언어와 세계를 둘러싼 혼동은 동양에도 있었습니다. 사실 공자의 말을 들으면 오늘 말씀드린 이야기와 놀랍도록 비슷한데가 있습니다. 공자도 과거에 황금기가 있었는데 역사가 퇴보했다고 하죠. 공자도 왕은 왕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한다는 정명론이라는 것을 펼칩니다. 그러니까 현대인도 이 책에서 말하는 플라톤의 함정에 빠져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포퍼가 이 책이 단순히 공산주의 비판에 머물지 않고 그것보다 더 큰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때문입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부족주의의 가장 큰 특징이 뭐였습니까. 그것은 바로 인간이 만든 사회적 법률을 중력의 법칙같은 자연법칙과 혼동한다는 겁니다. 노동자가 뭡니까. 부자가 뭡니까. 자유가 뭐고 평등이 뭡니까. 우리는 말의 의미와 힘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됩니다. 피흘리며 도달한 우리 사회의 현실을 무시해서도 안됩니다. 하지만 인간이 만든 말을 자연법칙과 혼동해서도 안됩니다. 제 아무리 똑똑하고 존경할 만한 사람이 감탄스럽게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고 해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우리는 본질주의의 함정에 빠져 듭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