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글모음1685

구글 듀플렉스와 인공지능의 소유권 2018.5.12 구글에서 듀플렉스라는 서비스를 시연했다 (한글 자막이 없지만 데모 비디오는 이 글의 마지막에 있다). 이 데모는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는데 첫째로 음성이 아주 자연스러웠기 때문이다. 기계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는거야 새로울 것이 없지만 대화속에서는 문맥에 따라 톤이 달라지는데 그런 부분까지 아주 완벽해서 아무리 들어도 이걸 기계가 말했다는 것을 믿기 힘들정도다. 그 보다 더 놀라운 것은 기계가 인간과 대화를 아주 자연스럽게 이어나간다는 사실이다. 사실 데모 영상을 보면 적어도 두번째 통화에서는 기계가 아니라 인간이 멍청하게 느껴진다. 점원은 상대방의 말을 잘못 알아듣고 뻔한 것을 기억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런 상황에서도 기계는 대화를 잘 이어나가는 것이다. 이 데모 이후.. 2018. 5. 12.
보이지 않는 영웅들 18.5.11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돈으로 거래를 하는 자본주의에 중독되어져 있다. 이것이 우리가 우리의 영웅을 보지 못하는 흔한 이유다. 먼저 가진 것을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자. 우리는 산소나 물처럼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도 그것을 구하는 일이 어렵지 않으면 그 가치를 잊을 때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것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강하게 그리고 훨씬 자주 일어난다. 블랙스완의 저자 나심 탈렙은 그 책에서 보이지않는 영웅에 대해 말한 적이 있다. 우리는 불이 났을 때 그 불을 끄는 소방관을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살인사건이 벌어졌을 때 격투를 벌여서 그 범인을 검거하는 경찰을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전쟁이 났을 때 적군을 무찌른 장군이 영웅이라고.. 2018. 5. 11.
평화로운 시대와 국가의 종말 2018.5.2 일본의 경제학자 오마에 겐이치가 국가의 종말이라는 얇은 책을 낸 것은 1995년의 일이다. 그는 전통적인 국가의 역할이 줄어들고 있으며 그보다는 통신과 경제적 소통의 결과 지역국가가 국경선을 무시하고 발전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제 그 예언이 있었던 것도 20년 이전의 일이지만 우리는 아직도 국가의 존재를 여전히 강하게 느끼고 있다. 그의 예언은 틀린 것이었을까? 하지만 비록 국가라는 개념이 가까운 시일내에 완전히 사라지게 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평화로운 시대는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런 시대에 어떤 국가가 좀 더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지에 대해서 생각할 거리는 많이 있으며 오마에 겐이치의 지적은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전면전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2018. 5. 2.
트럼프는 어떻게 한국의 영웅이 되어가는가 요즘 보면 트럼프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기대가 아주 높다. 트위터에는 트럼프가 아니라 힐러리나 오바마가 미국의 대통령이었다면 지금의 상황은 더 나빴을 거라는 말들이 많다. 그런데 이것은 사실 꽤 기이한 것이며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것이다. 사실 전세계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 2018. 5. 1.
남북 정상 회담을 보고 4월 27일 남북 판문점 정상회담이 끝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상상하던 것과 다르지 않았지만 매우 긍정적인 행사였다. 적어도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두번쯤은 가슴 뭉클한 순간이 있었을거라고 생각한다. 그런 느낌을 가지는 것을 신파라던가 쑈에 넘어간 것이라고 .. 2018. 4. 27.
다시 생각해야 할 고등학교의 역할 오늘은 흥미로운 기사를 하나 봤다. 그것은 대학입시중 정시의 확대를 두고 교사와 시민들간에 의견이 갈리고 있다는 기사였다. 이에 따르면 교사들은 정시의 확대에 반대하는데 그 이유는 정시가 확대되고 수능위주의 문제풀이 입시로 돌아가면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EBS 문제집이나 풀고 학교에 집중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정시의 확대를 원하는 시민들은 학생부 종합전형의 축소를 요구하면서 청와대 청원게시판에 1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서명하기도 했다고 한다.   정시의 확대를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하는 나에게는 이 기사의 단어 하나 하나가 눈이 확 떠지는 말들이었다. 나는 교사들의 주장이 가지는 행간의 의미와 배경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학생들이 학교에 집중하게 하기 위해서는 문제풀이에 집중하는 .. 2018. 4. 26.
남북 정상회담의 핵심은 뭘까? 남북정상회담이 이제 몇일 앞으로 다가 왔다. 이번의 회담은 큰 결실을 만들어 내거나 큰 변화의 시작이 될거라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하지만 그러려면 우리는 먼저 어떻게 그 변화가 가능할지, 무엇이 핵심일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수단과 목적을 구분해야 할 것.. 2018. 4. 24.
다산신도시 택배논란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요 몇일 다산신도시 택배 논란이 시끄럽다. 정부가 택배회사와 아파트주민간의 협상에 끼어든 결과 실버택배를 실시하고 정부가 보조를 해주기로 했다가 강한 여론에 떠밀려 뒤로 물러나는 일도 있었고 연일 그에 대한 기사에 주민들을 비판하고 나아가 거의 저주하는 댓글들이 달리고 .. 2018. 4. 22.
합리적 사회를 찾아서 합리적인 행동이 뭔가를 정의하기는 힘이 들지만 그것은 마치 '옳은 행동'처럼 우리가 해야만 하고 해야 마땅한 행동을 의미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합리성을 추구한다. 합리적인 개인이 되길 원하고 합리적인 사회를 만들고 싶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당연.. 2018. 4. 20.
조현민 소동과 왕조의 몰락 한진 그룹은 한국 재벌들의 역사를 전형적으로 보이는 곳이다. 1945년 창업자인 조중훈 회장이 세운 회사에서 시작된 사업은 해방이후 미군과 군수물자 수송계약을 체결하면서 성장한다. 그렇게 세워진 한진 그룹은 1990년에 2대 시대를 시작했다. 조중훈 회장이 회사의 경영권을 자식들에.. 2018. 4. 18.
자율운전차량의 딜레마와 우리의 미래 2018.3.29 2016년 6월에 저명한 과학잡지인 사이언스에 자율 운전 차량의 사회적 딜레마라는 논문이 출판되었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딜레마란 사람들이 자율운전차량이 이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상황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요하고 흥미로운 문제이므로 여기에 잠깐 소개해 본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미국 사람들 대상의 설문조사에서 이런 질문을 던졌다. 자율운전 자동차가 그 자동차를 타고 있는 사람과 길을 가는 보행자중의 한 쪽 밖에 구하지 못한다면 어느 쪽을 구해야 할까. 예를 들어 핸들을 꺽어서 방향을 바꾸면 절벽으로 차가 떨어져 운전자가 죽지만 그냥 직진하면 보행자를 죽이게 되는 상황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답은 그 자동차안에 몇명의 사람이 타고 있고 그 자율주행차가 보행.. 2018. 3. 29.
생각의 틀이 중요할까 정보가 중요할까 2018.3.28 요즘 인공지능이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을 연구하다보면 두가지 중요한 요소를 만나게 된다. 하나는 인공지능 기계의 구조다. 그리고 또 하나는 그 인공지능이 규칙을 배울 데이터다. 우리는 통상 인공지능의 연구를 주로 학습하는 기계의 구조를 연구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그 이상으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좋은 번역이 어떤 것인가를 기계가 배우려면 많은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같은 질문을 인간에게도 던질 수 있다. 우리가 합리적으로 사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뛰어난 사고의 틀일까 아니면 더 많은 정보일까? 물론 둘다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쉽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마치 이 둘 중의 하나를 양자택일하는 것처럼 되기 쉽다... 2018. 3. 28.
북한을 믿을 수 있다는 당신에게 "도저히 북한은 믿을 수 없다"는 당신에게라는 오마이뉴스 기사를 읽었다. 이 기사를 쓴 신은미씨는 재미교포로 북한을 여행하고 돌아와서 여행기를 책으로 내기도 한 사람이다. 그녀는 이 책에 관련한 북콘서트에서의 발언으로 종북으로 몰리기도 했는데 이에 관해서는 나는 아직 보지 .. 2018. 3. 27.
자소서를 잘 쓰는게 정말 인재인가? 이런 상상을 해본다. 에스페란토어나 수화처럼 한국어가 아닌 언어로 대학입시를 치루는 것이다. 이렇게 할 때 뽑힌 사람들이 과연 인재가 맞을까? 아마도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언어에 재능을 없는 인재들은 이런 입시를 통과할 수가 없을 것이다. 흔한 말로 아인쉬타인이 .. 2018. 3. 25.
이명박을 돌아보며 이명박이 구속되었다. 이명박의 구속사유나 그의 경제적 법리적 죄악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더 추구하는 일은 여전히 중요한 일이다. 사자방으로 말해지는 사대강, 자원외교 그리고 방산비리는 철저히 수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일은 많은 사람들이 잘 하고 있고 이명박이 구.. 2018. 3. 23.
판결의 온도와 말의 감옥. 얼마전에 판결의 온도라는 프로그램을 봤다. 이 프로그램은 과거에 논란이 되었던 재판을 다시 논하는 것이었는데 그때 주제가 되었던 것은 2400원때문에 해직된 운전기사의 해고 무효소송이 패소된 사건이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나는 깊은 인상을 주었던 두가지 말들을 들었다. 몇일이 .. 2018.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