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글모음1685 진실과 진실을 보는 과정 2013.11.21 우리는 여러가지 사회적 사건들을 만난다. 그리고 그 사건들의 진실을 알고 싶다. 예를 들어 천안함사건에서도 그렇고 노무현의 북방한계선 사건에서도 그렇다. 우리는 진실이 궁금하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알게 될 것인가. 진실이란 무엇인가. 진실을 찾는 방식에는 적어도 두가지 태도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그 두 태도를 과학적 태도와 베이지언의 태도라고 부르자. 이 두 태도들은 쉬운 경우들에 있어서는 같은 결과를 만들 것이지만 진실을 캐기 어려운 상황에 가면 그렇지 않게 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많은 사람이 아직도 전자의 것을 믿지만 나는 점점 더 후자의 태도가 필요해 진 시대가 되어간다고 믿는다. 과학적 태도의 경우 과학적 태도라는 것은 일단 정확한 사실의 관찰에서 시작한다. .. 2013. 11. 21. 작은 방, 작은 방을 가진 집 2013.11.20 금산주택으로 상을 받은 노은주 임형남 건축가 부부는 사람을 살리는 집이라는 책을 썼다. 그 책에는 커다란 집을 가졌지만 한평이 좀 넘는 작은 방을 가지고 싶어한 건축주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아무것도 없는 그런 작은 방에 들어가 독서를 하고 싶다고 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책도 읽고 다큐도 좀 보고 하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서구식 삶과 우리의 삶의 차이 그리고 그에 따른 집의 구조의 차이같은 것도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점점 작은 방에 끌리게 되는 것을 느낀다. 요즘에는 작은 방은 인기가 없다. 대개 사람들은 이 방에는 침대넣으면 너무 자리가 좁다는 식으로 말한다. 아이들방도 침대에 책상까지 넣을 생각을 하면 사람들이 말하는 작은 방이란 내가 말하는.. 2013. 11. 20. 내가 인식의 연구에 관심이 있는 이유 뭔가를 잘하고 충분히 만족스럽게 하는 것과 어떤 것을 하고 싶은 것에는 차이가 있다. 이 차이가 생기지 않는 쪽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차이를 느끼게 된다. 그렇지만 잘하건 못하건 우리는 어떤 것을 왜 하는가를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하고 싶은 것을 기억하지 못하면 우연히.. 2013. 11. 19. KBS 은퇴 그 후를 보고 KSB 파노라마 은퇴 그 후를 주말에 봤습니다. 은퇴한 50대말 이후의 남자들의 삶에 중심을 맞추어 그들이 어떻게 힘든 삶을 살아가는가를 보여주는 것이 방송 의도라고 봤습니다만 저에게는 이래저래 아쉬움이 많이 남는 방송이었습니다. 방송은 50대의 퇴직한 아버지들을 여러명 보여줍.. 2013. 11. 18. 대기업, 협동조합 그리고 불신 우리는 대기업을 신뢰하고 있다라는 말은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지 모른다. 이 세상에 삼성이나 현기차 욕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한국사람들이 대기업을 신뢰한다는 것이냐라고 반문할 수 있으니까. 나는 차라리 이렇게 말했어야 할지 모른다. 우리는 왜 개인으로서의 서로를 .. 2013. 11. 15. 형식과 내용 13.11.12예술에 있어서의 형식과 내용 예술은 여러가지 제약과 형식을 가지고 있다. 큰 제약을 말하자면 음악은 소리를 통해서 표현을 해야 하고 그림은 2차원적인 시각패턴을 통해서 조각은 3차원적인 물체의 모양을 통해서 작가가 원하는 것을 표현해야 한다. 문학의 경우에는 그것이 대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로 이뤄져 있다는 것, 더 구체적으로는 한국어나 중국어나 영어로 되어 있다는 것이 제약과 형식이 된다. 물론 이런 형식은 더 자세히 들어가면 더 많이 존재한다. 회화도 유화냐 수채화냐가 있는가 하면 여러가지 유파의 사람들이 스스로 어떤 형식을 정해서 그림을 그린다. 시에는 운율이 있는 시가 있다. 제약과 형식에 대해서 말하자면 우리는 보통 그것을 한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예술의 핵심은 어.. 2013. 11. 12. 개인의 탄생 2013.11.11 아이가 없으면 어른이 없다. 구분이 없으면 어떤 개념은 탄생하지 않고 개념이 없으면 그것은 적어도 분명히 인식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어떤 것은 그냥 당연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구분이 가능해 짐으로해서 생겨난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개인주의라는 말을 듣고 사생활을 존중해 달라라는 말을 듣지만 개인이라는 개념이 있다는 것은 개인이 서로 서로 구분되는 일이 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생각해 보면 사생활이니 하는 말은 배부른 부자들이나 하는 소리요 극빈자들이 그런 것을 신경쓰고 사는 것은 사치일 것이라는 점은 쉽게 알 수 있다. 무슨 18세기니 15세기니 하는 옛날로 돌아가지 않아도 지금 이 순간의 가난한 나라는 물론 불과 반세기정도전의 한국만해도 방하나에 다섯 식구가 .. 2013. 11. 11. 아파트, 시골 그리고 양극화 2013.11.7 이 주제에 대해 글을 잘 써보고 싶지만 그러기에는 생각을 정리할 시간이 짧아 생각을 정리하지 못하고 손가락가는대로 몇자 씁니다. 사실 반복입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저도 그렇고 다른 사람들도 많이 한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야기는 반복됩니다. 이야기가 어려워서가 아니라 이 이야기를 알아듣지 못하도록 세상이 사람들을 마취시켰기 때문이죠. 알고보면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이지만 또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모르면서 안다고 착각하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아파트가 좋다고 말씀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제가 쓴 글의 댓글에서도 그런 분이 참많으며 아파트에 살 수 밖에 없다라고 단언하는 분도 많습니다. 저는 그분들이 틀렸다고 생각지는 않습니다만 동시에 매우 큰 우려를 하면서 그런 단언을 듣게 됩니다. .. 2013. 11. 7. 한옥 한국의 집을 둘러보고 2013.11.4 구글문화연구원에서는 한옥을 한국의 집 한옥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소개하고 있다 (buff.ly/1aJ2zwa 여기에 가면 둘러볼수 있다.) 여기서는 명재고택이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상류층 집을 소개 하는데 나는 여기를 둘러보면서 한국인의 집은 어떤 것인가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먼저 말해 둘 것은 나는 내 손으로 집을 지어봤다던가, 장기적으로 한옥 생활을 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한옥은 좁고 춥다고 불평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게 가능이나 한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는 이 글에서 우리가 이렇게 살면 되겠다는 획기적이고 최종적인 결론을 내놓을 능력이 없다. 또한 과거의 한옥 그대로 살자고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나는 내가 느끼고 보는 관점에서 한옥이란 것에 대해.. 2013. 11. 4. 걷고 싶어지는 길의 비밀 사람이 하는 일중에 가장 보람있는 일은 아마 산책이 아닐까 한다. 독서도 좋은 것이지만 아무래도 굳이 따지자면 산책만은 못하다. 독서는 남과 하는 대화지만 산책은 자신과 하는 대화다. 남보다는 아무래도 내가 더 중하달까. 그래서인지 고금의 여러 사색가들은 산책하는 것을 버릇.. 2013. 10. 31. 젊은이들이 살기 힘든 이유 2013.10.30 들어가며 88만원세대, 아프니까 청춘이다같은 책들이 대표적이지만 젊은이들의 힘든 삶을 분석하거나 젊은이들에게 위로를 주는 담론은 많다. 그러나 청년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청년들이 살기 힘든 이유가 뭘까를 생각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젊은이들이 살기 힘든 가장 큰 이유는 자기가 못나서도 아니고, 원래 청춘은 아프기 때문이 아니고, 월급이 작아서도 아니고, 안정된 직장이 작아서도 아니다. 그런 이유들은 다 옳은 말이지만 진실의 절반이거나 작은 진실이다. 젊은이들이 살기 힘든 이유로 첫째로 꼽아야 하는 것은 공동체의 붕괴다. 이것을 기억하지 않으면 모든 해법들은 소용이 없거나 젊은이들의 삶을 오히려 더 힘들게 만든다. 인간의 삶이 살만한 것은 .. 2013. 10. 30. (스크랩) 9평 하니문 하우스 2013. 10. 29. (스크랩) 열평짜리 주택 2013. 10. 29. (스크랩) 열평 한옥주택 작지만 고품스런 10평 소형 신한옥 주택 신한옥으로 지은 이동식 소형 한옥주택입니다. 간편하게 이동이 자유로워 주말주택,펜션,세컨하우스등으로 사용가능한 신한옥 소형주택입니다. 크기 : 10평 신한옥 주택 / 내부구조 : 원룸형 외부마감 : 루바,복합판넬 / 내부마감 : 편백,황토보드 .. 2013. 10. 29. (스크랩) 소형 10평주택 여기 4인 가족이 행복한 주말을 즐길수 있는 아담한 소형 원목주택이 있습니다. 팀버 프레임 공법으로 시공한 튼튼하고 단열이 뛰어난 원목 두께 50 mm 로 외장 마감공사 (일반 목조주택의 외장공사는 OSB 합판을 포함하여 약 20 mm 정도). 그러니까, 약 2.5배 두꺼운 외벽이며, 더욱이 2중 복층.. 2013. 10. 29. 큰 집 거지와 작은 집 부자. 큰 집 거지와 작은 집 부자.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구직의 문제나 장래문제로 고민을 한다. 자영업자들이 벼랑에 몰려있다는 이야기, 퇴직자들이 치킨집하다가 망했다는 이야기가 우리귀에 들려온지가 오래다. 돈도 없는 젊은 세대는 더 하다. 까 먹을 돈도 없고 취직할 길도 없으니까. .. 2013. 10. 28.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