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글모음1685

혁명과 나무를 심는 사람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역사와 환경의 산물일까. 그것은 어쩌면 우리가 보는 높이와 넓이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문제일지 모른다. 즉 우리가 높은 위치에서, 넓게 보면 볼수록 더 많은 것이 보이고 따라서 세상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 자신의 몫이란 작게 보이게 될수 있다.  인류의 역사를 논하는 가운데 플라톤정도의 영향력을 보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는 서구 문명의 원천으로 생각되어 지는 힘을 발휘하며 오늘날의 서구문명 아니 세계 문명은 그의 저작에 크게 영향받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의 이데아사상은 서구 철학의 본격적 시작이고 기독교정신의 기초를 만들어준 철학이었다. 예를 들어 세계가 이만큼 평등한 세상이 된 것에는 그의 철학적 영향력이 작용했다.  그런데 플라톤을 폄하하자는.. 2014. 5. 21.
일본에 사는 사람의 생각 : 전주 맛집 단상 전주 한옥마을에 부모님과 함께 놀러다녀온 이후 저는 이 도시에 관심이 많이 생겼습니다. 전주는 비교적 한국의 중심에 자리해 전국 어디서나 가기 가깝고 문화적 자원이 풍부하며 작은 시골마을이 아니라 60만 이상의 인구가 사는, 있을 것은 다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소위 편의시설도 .. 2014. 5. 17.
신념과 혁신 2014.5.8 신념과 혁신 우리는 흔히 낡은 것에 익숙해져서 서서히 죽어가는 것을 참아내며 살아간다. 일상의 삶이 의미를 주지 못하는 사람들은 종종 새로운 세계로 초극하는 것을 꿈꾸는데 그것은 신의 세계일 수도 있고, 어떠한 새로운 이념이 보여주는 세계일 수도 있다. 그것은 새로운 로맨스일 수도 있고 춤이나 음악의 세계일 수도 있다. 뭔가의 이유로 그렇게 하지 못할 때 우리는 그러한 상황을 답답해 하고 우리를 가로막는 것들에 대해 분노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의 열정과 도전이란 다양하지만 사실 모두 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순히 일상에 지쳐서 여행을 꿈꾸는 사람에서 새로운 자극을 찾아 영화관을 찾는 사람,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혁명가, 종교적 열정에 빠진 구도자도 그 대상의 구체적 내용이 다.. 2014. 5. 8.
세월호는 우리의 눈을 바꿀 것인가. 나는 우리가 세상을 보는 눈, 그러니까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변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관심이 있다. 그런 내가 아니더라도 이번 세월호사건을 접하고 많은 사람들이 우리는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고 그렇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정말 .. 2014. 4. 28.
느린 판단과 한국 사회 세월호의 여파때문에 낡은 문제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 문제중의 하나는 급박한 상황에서 그걸 처리하는 능력이 지나치게 나쁘다는 겁니다. 사람들은 이런 저런 시스템, 이런 저런 메뉴얼의 부재를 한탄합니다. 그건 옳은 일입니다. 그러나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진짜로 중요한 것의 .. 2014. 4. 25.
세월호와 우리안의 괴물들 어떤 사람들은 이런 시기에 글을 쓰지 않고 조용히 지내야 한다고 말하는 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저는 생각을 글로 풀어내는 것이 나에게 좋고 작게 나마 이 글을 읽을지도 모르는 몇몇분에게 도움도 된다고 생각해서 글을 씁니다. 사실은 한동안 글쓰기를 절제할 예정이었는데 말입니다.. 2014. 4. 21.
세월호 참사와 인과론 세월호 참사와 인과론 Normal 0 10 pt 0 2 false false false EN-US JA X-NONE $([\{£¥‘“〈《「『【〔$([{「£¥ !%),.:;?]}¢°’”‰′″℃、。々〉》」』】〕゛゜ゝゞ・ヽヾ!%),.:;?]}。」、・゙゚¢ 세월호 참사는 .. 2014. 4. 20.
세월호사건 피해자의 생존기원과 나의 치유를 위해서 어제는 세월호 좌초사건이 일어났다. 지금도 3백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실종된 상황이다. 이번 사고가 아무쪼록 많은 기적과 함께 한명이라도 더 적은 피해자를 만들고 끝나기를 바란다. 진도 세월호 좌초사건은 사건 그 자체보다 그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가때문에 나에게 더 크게 다가.. 2014. 4. 17.
궁극의 작은 집, 쉐어 하우스 서구나 일본에서는 이미 익숙한 주거 형태인 쉐어하우스가 우리나라에서도 슬슬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보더리스하우스나 우주 같은 업체가 세를 늘려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저는 쉐어하우스의 가능성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즉 주거 대안으로서 잠재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2014. 4. 11.
저는 지금 여행중 파리의 리옹역 호텔에서 몇자 남깁니다. 전에 한동안 글을 안썼더니 걱정하시는 분이 있더군요. 저는 지금 가족과 함께 여행중입니다. 아직 여행일정이 한주일은 남았군요. 그래서 글이 올라오지 않고 있습니다. 돌아가면 또 무슨 말이든 하게 되겠지요. 여행기도 쓰게 될겁니다. 아마도. .. 2014. 3. 30.
가볍게 살기. 2014.3.20 일찌기 법정스님의 무소유 정신에 많은 사람이 공감했지만 제가 보기엔 그런 수도승을 거론하지 않아도 시대는 점점 가볍게 사는 것을 권장하는 시대입니다. 가볍게 산다는 것을 저는 언제 떠날지 모르는 것처럼 사는 것, 마치 여행하는 것처럼 사는 것으로 자주 표현하는데요 이런 생활 방식이 권장되는 것은 우리가 미래에 대해 예측을 하는 능력이 점점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백년전에 이백년전에 농가에서 태어난 철수는 작년에 농사짓던대로 올해도 농사짓고 아버지가 장가를 가던 나이가 되면 나도 장가를 가야하나 하고 생각할 것이며 30대가 되면 이렇게 살고 40대가 살면 이렇게 살고 하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당연했습니다. 집이란 새로 짓기도 하지만 대개 조상이 지어놓은 집을 조금씩 고치면서 살고 일단 지.. 2014. 3. 20.
참여를 돌아보며 노무현 정부는 스스로를 가르켜 참여정부라고 하고 그 노무현을 대선에서 지지하는 것이 주요 원동력중의 하나가 되어 만들어졌었던 정당은 스스로를 참여당이라고 말했다. 참여란 말하자면 적어도 하나의 정권을 만들어낸 이념이었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이제 벌써 12년이 지나고 노.. 2014. 3. 18.
진짜는 거의 공짜로 얻게 된다. 2014.3.12 요즘은 더더욱 많은 것이 상품이되고 그때문에 더더욱 돈이 모든 것의 가치척도가 되는 시대다. 그래서 신문방송도 언제나 경제 경제하면서 돈 이야기에 집중하게 만든다. 그러나 진짜로 소중한 것은 종종 공짜로 얻게 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우리는 어떤 것이 공짜고 어떤 것은 비싼 것이니 비싼 것이 당연히 중요하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사실은 그 반대인 경우가 많다. 물론 개개의 경우마다 상황이 다르기는 하지만 우리가 뭔가를 해준다던가 받는다던가 하는 일은 크게 말해서 두가지 종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그걸로 돈을 벌어서 이득을 취하겠다는 것이고 또하나는 당신을 동료로 삼고 가족으로 만들어서 공동의 이익증대를 가져오겠다는 것이다. 당신이 돈을 지불할 때 당신은 누군가의 고객이 되고 있는 .. 2014. 3. 12.
시국단상 언제나 그렇지만 세상이 시끄럽다. 그러나 나는 그 시끄러움에 점점 더 관심이 없어진다. 그 시끄러움이 좋은 변화를 위한 것이 되려면 필요한 중요한 요소는 빠져있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지난 몇년간 내가 생각했던 것중에 잊지 않고 싶어서 자주 하는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바.. 2014. 3. 7.
심야식당, 숙성된 도시의 정서 내가 일본에 산지도 이제 십년이 가까워 간다. 나는 여러가지 일본적인 것을 보기는 했지만 유독 시간이 가면 갈수록 심야식당의 시작에 나타나는 정서가 현대 일본을 잘 표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그것은 도시 소시민의 삶이라는 보편적 정서가 깔려 있는 것이다. 서양은 서양.. 2014. 3. 3.
공부의 어려움 2014.2.28 몇몇 재수 좋은 사람과 몇몇 어리석은 사람 그리고 공부에 관심없는 사람을 제외한다면 누구나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다. 공부란 것도 여러가지가 있기는 하다. 그래서 주제에 따라 어려움도 다르기는 하다. 그러나 공부의 어려움에는 공통된 것도 있다. 그것은 시작에서 시작하면 시작을 빠져나올 수 없고 끝에서 시작하면 시작을 모르고 끝을 공부하는 어려움이다. 물리와 철학을 공부하는 예를 들어보기로 하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뉴튼의 법칙 정도는 안다. 그러나 그중의 하나인 힘은 질량 곱하기 가속도라는 식도 따지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우리는 과연 힘이란게 뭔지, 질량이란게 뭔지, 거리나 시간이라는 게 뭔지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그러면 사실 끝이 없다. 서양철학사의 시작은 그리스에서 시작한다. 그러면 .. 2014. 2. 28.